3D 프린팅 관련 용어 정리: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개념 사전

2025. 3. 12. 15:583D 프린팅

3D 프린팅 관련 용어 정리: 초보자를 위한 필수 개념 사전

 

목차

 

3D 프린팅을 처음 접하는 초보자라면 다양한 기술 용어가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 3D 프린터의 기본 개념부터 출력 과정, 소프트웨어, 소재 등과 관련된 핵심 용어를 정리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.

이 글을 읽고 나면 3D 프린팅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와 개념을 완벽히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.


1. 3D 프린터 기본 개념 용어

① 3D 프린팅 (3D Printing) / 적층 제조 (Additive Manufacturing, AM)

  • 3D 프린팅: 디지털 모델을 기반으로 재료를 한 층씩 쌓아 입체 구조를 만드는 기술
  • 적층 제조 (AM): 기존 절삭 방식이 아닌 적층(additive) 방식으로 제작하는 제조 공법의 총칭

② CAD (Computer-Aided Design, 컴퓨터 지원 설계)

  • 3D 모델을 설계하는 소프트웨어 기술
  • Fusion 360, Tinkercad, SolidWorks 등 다양한 CAD 소프트웨어가 있음

③ 슬라이싱 (Slicing)

  • 3D 모델을 출력 가능한 층(Layer) 단위로 변환하는 과정
  • Cura, PrusaSlicer, Simplify3D 같은 슬라이싱 소프트웨어를 사용

④ STL (STereoLithography) 파일

  • 3D 모델을 저장하는 대표적인 파일 형식
  • 표면을 삼각형 메시(Triangle Mesh)로 변환하여 저장

⑤ G코드 (G-code)

  • 3D 프린터가 출력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코드
  • 프린터의 노즐 이동 경로, 온도, 압출량 등을 제어

2. 3D 프린팅 기술 및 출력 방식 용어

⑥ FDM (Fused Deposition Modeling, 용융 적층 모델링)

  • 필라멘트를 녹여 한 층씩 쌓아 출력하는 방식
  • 가장 대중적인 3D 프린팅 방식으로 PLA, ABS, PETG 등의 필라멘트 사용

⑦ SLA (Stereolithography, 광경화 방식)

  • 레이저를 이용해 액체 레진(Resin)을 경화시키며 출력하는 방식
  • 정밀도가 높고 부드러운 표면 품질을 제공

⑧ SLS (Selective Laser Sintering, 선택적 레이저 소결)

  • 레이저로 분말 소재를 소결(sintering)하여 적층하는 방식
  • 서포트가 필요 없고 강도가 높은 부품 제작 가능

⑨ DLP (Digital Light Processing, 디지털 광처리 방식)

  • 프로젝터 광원을 사용해 한 층씩 레진을 경화시키는 방식
  • SLA보다 속도가 빠르고 정밀한 출력 가능

⑩ MJF (Multi Jet Fusion, 멀티젯 융합 방식)

  • HP에서 개발한 파우더 베드 퓨전(PBF) 방식의 3D 프린팅 기술
  • SLS와 유사하지만 고속 출력 및 강력한 기계적 물성을 가짐

3. 3D 프린터 주요 부품 및 하드웨어 용어

⑪ 익스트루더 (Extruder)

  • 필라멘트를 녹여서 노즐을 통해 압출하는 장치
  • 다이렉트 드라이브(Direct Drive)와 보우든 익스트루더(Bowden Extruder) 방식이 있음

⑫ 노즐 (Nozzle)

  • 녹인 필라멘트를 출력하는 출력구(Extrusion Tip)
  • 일반적인 크기는 0.4mm이며, 더 세밀한 출력은 0.2mm, 더 빠른 출력은 0.6mm 이상 사용

⑬ 베드 (Bed) / 빌드 플레이트 (Build Plate)

  • 출력물이 적층되는 표면으로 가열 베드(Heated Bed)를 사용하면 접착력 강화 가능

⑭ Z축 보정 (Z-offset / Bed Leveling)

  • 노즐과 베드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출력물이 잘 붙도록 최적화하는 과정
  • 자동 레벨링(Auto Bed Leveling) 기능이 있는 프린터도 있음

4. 3D 프린팅 소재 및 후가공 관련 용어

⑮ 필라멘트 (Filament)

  • FDM 방식에서 사용하는 가느다란 플라스틱 재료
  • PLA, ABS, PETG, TPU(고무성), 나일론 등 다양한 필라멘트 종류 존재

⑯ 레진 (Resin)

  • SLA/DLP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광경화성 액체 수지
  • 표준(Standard), 강성(Rigid), 탄성(Elastic) 등 다양한 유형이 있음

⑰ 서포트 (Support Structure, 지지대)

  • 출력물의 공중에 떠 있는 부분(오버행, Overhang)을 지지해주는 구조물
  • SLA와 FDM 방식 모두 필요하며, 후가공 시 제거해야 함

⑱ 리트랙션 (Retraction, 후진 설정)

  • 필라멘트가 출력 중 쓸데없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조절하는 기능
  • 값이 너무 높으면 필라멘트 공급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

⑲ 후가공 (Post-Processing)

  • 3D 프린팅 후 출력물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가공 과정
  • 연마(Sanding), 도색(Painting), UV 경화(UV Curing) 등이 포함됨

5. 3D 프린터 설정 및 소프트웨어 용어

⑳ 프린팅 속도 (Print Speed)

  • 노즐이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속도
  • 일반적으로 40~60mm/s가 적당하며, 빠를수록 품질 저하 가능

㉑ 적층 두께 (Layer Height)

  • 각 층(Layer)의 높이를 의미하며, 수치가 작을수록 세밀한 출력 가능
  • 0.1mm → 고해상도, 0.2mm → 일반 출력, 0.3mm → 빠른 출력

㉒ 오버행 (Overhang)

  • 출력물이 45도 이상 기울어져 있을 때 발생하는 처짐 현상
  • 서포트를 사용하거나 냉각 팬을 조절하여 해결

㉓ 브림 (Brim) & 래프트 (Raft)

  • 출력물이 베드에 잘 붙도록 추가하는 바닥층
  • 브림(Brim): 얇은 한 층을 추가하여 접착력 향상
  • 래프트(Raft): 출력물 아래에 여러 층을 추가하여 더 강한 접착력 제공

마무리 – 3D 프린팅 용어 총정리

이제 3D 프린팅과 관련된 필수 개념과 용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.

 

필수 개념과 용어

기본 개념 - 3D 프린팅, 적층 제조, CAD, STL, G코드

출력 기술 - FDM, SLA, SLS, DLP, MJF

하드웨어 - 익스트루더, 노즐, 베드, 레벨링

소재 및 후가공 - 필라멘트, 레진, 서포트, 리트랙션

설정 및 소프트웨어 - 슬라이싱, 프린팅 속도, 적층 두께, 오버행

 

 

이제 3D 프린팅 용어를 익혔으니, 실제로 프린팅을 시도해 보세요!